본문 바로가기

황금이들 보셔요 :D37

아함경, 잡아함경, 장아함경, 중아함경, 증일아함경 불교경전 아함경은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부처님께서 열반하시기 직전 제자들에게 설하신 가르침입니다. 그래서 초기불교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이 아함경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어떤 경전이 있는지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함경은 무슨 뜻인가요? 아함이란 산스크리트어인 ahamma(āhā)라는 말로서 '전승'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팔리어로는 anupādāna 라고 합니다. 즉 전승되어온 가르침이라는 뜻이죠. 그렇다면 왜 굳이 아함경이라고 부르는 걸까요? 그것은 인도에서는 불교사원 내에서 일정한 규칙과 절차에 따라서 수행자들이 모여 토론하며 공부했는데 이것을 승가학습 또는 수다라학파라고 불렀습니다. 이러한 학습과정 속에서 스승으로부터 배운 다양한 지식들을 정리해서 기록하게 되는데 이를 모은 책을 이라 하고,.. 2023. 3. 20.
조선시대 루틴이 율곡 이이! 5천원의 주인공 율곡이이 율곡이이(1536~1584)는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루는 성리학자입니다. 또한 십만양병설 등 여러가지 개혁정책을 주장하며 선조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이기도 합니다. 특히 임진왜란 직전 일본의 침략가능성을 예견하기도 한 선견지명있는 사람이었어요. 하지만 당쟁싸움 속에서 희생되어 49세라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짧은 생애동안 수많은 업적을 남긴 율곡이이 선생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율곡이이의 어린시절 율곡 이이선생님은 1536년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머니인 신사임당으로부터 학문을 배웠고, 아버지 이원수로부터는 건강한 신체를 물려받았습니다. 당시 사대부집안에서는 여자아이들이 글공부를 하는것을 금지했는데, 사임당 신씨는 딸에게.. 2023. 2. 12.
조선시대 독서왕 백곡 김득신! 조선시대 독서왕 조선시대 최고의 독서왕이었던 백곡 김득신(金得臣·1604~1684)이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명문 사대부가 출신이지만 과거 시험에서는 번번히 낙방했고, 당대 내로라 하는 시인 묵객들조차 혀를 내두를 만큼 엄청난 양의 독서를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했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당시 양반들은 이를 두고 공부만 할 줄 아는 무식한 샌님이라며 조롱하곤 했습니다. 그러나 훗날 정조 임금으로부터 ‘최고의 글재주를 지닌 천재’라는 극찬을 받았고, 후대 학자들로부터도 존경받는 역사상 위대한 인물로 평가받게 됩니다. 대기만성의 표상 김득신! 그의 생애는 1754년 충북 증평군에서 태어나 어릴 적 천연두를 앓아 무려 일곱 살에야 겨우 글을 깨우쳤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워낙 머리가 비상했기에 스무 .. 2023. 2. 6.
장 폴 샤르르트. 인생은 B와 D사이의 C이다. 장 폴 샤르르트 는 누구? 장 폴 샤르트르 는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입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사르트르와는 다른 사람이니 헷갈리지 마세요! 샤르트르는 1905년 파리에서 태어나 1980년 사망했습니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점령하에서는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고, 미국과 소련간의 냉전시대엔 중립국인 스위스 국적을 취득하며 반공주의자가 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다시 프랑스로 돌아와 자신의 사상을 펼치기 시작했는데요, 특히 1964년 출간한 이라는 책에선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는 말을 남기며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이처럼 시대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 샤르트르는 노벨문학상 후보로도 여러번 거론되었지만 수상하진 못했습니다. 그렇다면 샤르트르의 대표작으로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2023.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