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금이들 보셔요 :D

석가모니와 부처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by 빛나는명언 2023. 1. 19.

불교하면 누구나 떠올리는 인물 바로 '석가모니' 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석가라는 말보다 부처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렇다면 왜 우리나라에서는 석가는 물론이고 불자조차 모두 부처라고 부르게 된 것일까요? 또한 한 명뿐인 석가모니와는 달리 인도에만 무려 3억 명이 넘는다는 부처들은 대체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여기서 말하는 부처란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각 부처마다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부처(Buddha)란 산스크리트어 붓다(Budda)를 한자로 음역한 것입니다.

본래 고대 인도의 종교 지도자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후에 깨달음을 얻은 자 또는 진리를 깨달은 자를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어원 덕분에 오늘날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첫째, 수행자와 신자로부터 추앙받는 신격화된 인격체로서의 부처!

둘째, 모든 중생을 구제하고자 하는 대승불교의 이상형으로서의 부처!

셋째, 열반에 도달한 최고의 경지로서 해탈하여 번뇌 망상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일컫는 부처!

이렇게 각기 다른 성격을 지닌 만큼 숭배 방식 역시 다릅니다. 우선 첫 번째 유형은 불상 제작 및 예배 의식을 통해 신앙의 대상으로서 존경받습니다. 다음으로 두 번째 유형은 보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자비심을 바탕으로 중생 제도에 힘쓰는 동시에 성불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유형은 주로 힌두교 사상 체계 내에서 등장하는데 윤회로부터의 해방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습니다.아마도 우리나라 불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모습은 바로 석가모니부처님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밖의 부처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개인적인 견해로는 사실 어느 한 분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각각의 부처님들께서 지니신 특성들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다채로운 불교문화를 향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만일 당신이 ‘자신만의 부처’를 찾고 있다면 자신의 참모습을 발견해야 합니다.

만일 당신이 ‘자신만의 부처’를 찾고 있다면 자신의 참모습을 발견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됩니다. 수행자는 자기 자신을 항상 되돌아보아야 합니다. 또한 스스로 모범을 보임으로써 다른 사람에게도 귀감이 되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진실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모든 사람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인 계율을 잘 지키고, 바르게 이해하여 실천함으로써 깨달음을 얻어야 합니다. 즉 바른 견해(正見)로 올바르게 사유(正思惟)하고, 그 다음으로는 몸과 입과 뜻으로 열심히 정진(正精進)하며, 마지막으로 지혜롭게 살아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사성제(四聖諦)라고 하는 네 가지 진리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