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금이들 보셔요 :D

왜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공자가 높게 평가되는 것일까요?

by 빛나는명언 2023. 1. 20.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이름 공자.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이름 공자. 그만큼 한국인들에게는 친숙한 인물인데 정작 중국에서는 그리 높게 평가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심지어 다른 나라에서도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 것일까요? 여기서 잠깐 짚고 넘어가자면 유교란 동아시아권 국가에서 나타난 사회사상 및 문화체계로서 유학 또는 주자학으로도 불립니다. 유교사상은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와 현대사회 속 윤리의식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기에 이토록 위대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타국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요? 그럼 지금부터 공자라는 인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자의 출생 배경을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춘추시대 말기의 사상가로서 유교의 시조라고 불리는 기원전 공자 (孔子) 는 기원전 551년 노나라 창평향 추읍에서 태어났습니다. 공자는 어려서부터 공부하기를 좋아했고, 일찍 학문에 뜻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집안 형편이 넉넉하지 못해 배움에 어려움을 겪었고 17세 때 창고 관리직 업무를 맡으면서 자신의 삶을 개척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주나라 관제와 예법을 정리한 자료를 편찬하면서 명성을 얻었고 마침내 대사구라는 벼슬에까지 올랐습니다. 그러나 당시 정치 세력이었던 삼환씨와의 갈등으로 관직에서 물러났고 14년간 주유열국하며 제자 양성에 힘썼습니다. 만년에는 고향 곡부 근처에서 교육 사업에 전념하다 생을 마감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아버지는 숙량흘이고 어머니는 안징재였는데 아버지 쪽으로는 첩에게서 난 아들이었고 어머니 쪽으로는 본처 소생이었습습니다. 따라서 태생부터가 비주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더욱이 3살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홀어머니 밑에서 어렵게 성장했고, 17세 되던 해 송나라 출신 여인과 혼인하여 슬하에 딸 하나를 두었습니다. 결혼 후 생계유지를 위해 창고지기나 가축 사육사 등 온갖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훗날 제자백가 사상가로 명성을 떨친 맹자와 만나게 됩니다. 이때 둘 사이에 나눈 대화가 오늘날까지 전해지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맹자: 그대는 어디 사는 뉘시오?

공자: 저는 은나라 후예입니다.

맹자: 은이면 하왕조 이전이니 전설상의 왕조 아니오?

공자: 그렇습니다.

맹자: 그러면 그대 조상은 성인이었겠군요?

공자: 그렇진 않습니다.

맹자: 어찌 그렇지 않을 수 있소?

공자: 제 선조는 주왕실의 서형이었는데 포악한 정치 탓에 백성들이 도탄에 빠지자 동쪽으로 도망쳐 왔습니다. 그곳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는데 덕망이 높은 분이었습니다. 그분 덕분에 후손들은 먹고 살 걱정 없이 잘 살고 있습니다.

맹자: 그랬군요. 내가 들은 바에 의하면 어진 임금 아래엔 반드시 훌륭한 신하가 있게 마련이오. 무릇 군주가 어질면 신하는 곧고 충성스러우며, 군주가 의로우면 신하는 공경하고 삼가며, 군주가 지혜로우면 신하는 정직하다고 하오. 만약 군주께서 어질지 못하다면 누가 능히 자기 몸을 바쳐 바르게 간언하겠소? 옛말에 이르기를 '어진 자는 흥하고 불초한 자는 망한다'고 했소. 이제 그대의 선대는 모두 돌아가셨으니 그대가 아니면 누구한테 물어서 알 수 있겠소?

여기서 주목해야 할 대목은 마지막 구절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공자는 인()을 강조했는데 그것은 인간관계에서의 사랑이자 배려심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위 내용을 종합해보면 올바른 지도자가 있어야만 충신이 존재한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물론 이것만으로 공자가 후세에 끼친 영향력을 전부 설명할 순 없지만 적어도 후대 학자들에게 미친 영향만큼은 무시할 수 없다고 봅니다.

공자를 수단으로 이용하다.

공자는 중국 춘추시대 말기 노나라 사람이며 사상가이자 교육자입니다. 그리고 논어라는 저서를 통해 유교 철학을 널리 전파시켰습니다. 이러한 영향력 덕분에 현재까지도 동아시아권에서는 공자를 성인으로 추앙하며 존경심을 표합니다. 하지만 같은 시대 다른 나라들은 어땠을까요? 오늘날처럼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않았던 당시 각국 간 교류는 매우 제한적이었습니다. 따라서 한 지역에서의 평가가 타지역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왜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공자가 높게 평가되는 것일까요? 물론 조선시대 이후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유교 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원인은 바로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한반도 내 통치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던 일본은 식민통치 정책의 일환으로 역사 왜곡을 자행하였습니다. 이때 주로 거론된 인물이 바로 공자였습니다. , 자신들의 정체성을 부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자를 이용하였던 것입니다. 이렇듯 외부로부터의 개입 없이 순수하게 형성된 이미지란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대상에 대한 평가는 언제나 객관성과 공정성이 바탕이 되어야만 합니다.

댓글